[사건큐브] 5억 그림에 관람객 무단 낙서…복원에 1천만 원<br /><br /><br />첫 번째 큐브 속 사건입니다. 큐브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이번 큐브는 'WHAT'(무엇을?)입니다.<br /><br />얼마 전 20대 남녀가 롯데월드몰에 전시된 5억 원 상당의 그라피티 작품을 참여형 작품으로 착각해 페인트로 낙서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소식을 들은 작가가 전시회 측에 "복원을 원한다"는 입장을 전해왔는데, 거액의 복원 비용이 문제입니다.<br /><br />김성수 변호사,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와 함께 사건큐브에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지난달 28일, 송파구 롯데월드몰 지하 전시장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부터 설명해 주시죠.<br /><br /> 이 그림이 '존원'이란 작가의 작품이었던 건데 세계적인 그라피티 예술가로 평가받아 해당 작품가만 5억 원에 달한다면서요?<br /><br /> 문제는 그림을 훼손한 이들이 작품 앞에 페인트와 붓이 있어서 참여 미술인 줄 알았다는 건데 작가에게 이 같은 사실을 전달한 결과 어떤 답변이 온 겁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일각에서는 작가의 대응이 의외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는데 왜 그런 겁니까? 한편 누리꾼들의 긍정적인 반응도 이끌어 내면서 '홍보를 노린 기획사의 자작극'이라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면서요?<br /><br /> 관건은 비용인데 그림이 보험에 가입돼 있는데 복원 비용을 20대 남녀가 부담해야 할 수도 있는 겁니까? 작가는 훼손한 당사자에게 금전적 부담을 지우지 않길 원한다고 했어도 보험사에서 피해 보상을 요구한다면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겁니까? 그런데 이 작품의 경우 한국인 소장자가 따로 있다고 하던데, 소장자가 향후 배상책임을 물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한편 전시장 측의 관리 책임을 물어야 한 단 목소리도 나오는데 "앞에 페인트와 붓을 두니 당연히 참여해도 되는 줄 알은 거다" 이런 반응이 나오면서 관리자도 없었던 전시장 측 책임을 지적하는 주장도 있는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